어떤 양형 이유 - 책망과 옹호, 유죄와 무죄 사이에 서 있는 한 판사의 기록
박주영 (지은이)
1/1
help_outline책 정보
사실 훈클럽이 아니었다면 펼치지 않았을 책이다. 나는 추적 60분도, 그것이 알고싶다도, 궁금한 이야기 Y도 오프닝음악조차 싫어할 만큼 쫄보다. 세상에 온갖 악이 가득하고 굳이 내가 그거까지 알아야 하는가, 생각하는 소시민이다. 이 책의 저자가 원고를 쓴 순서대로 책이 편집되었을지 궁금하다. 아닐 것 같다. 처음에 자극적인 사건들을 앞세운 것은 출판사의 프로페셔널 일 것 같다. 내가 그렇게 생각한 이유는 테드 창의 <당신 인생의 이야기>가 두 번 인용되기 때문이다. 뒤에 인용한 내용이 저자가 처음 인용한 것 같고, 앞에 인용한 부분이 뒤에 인용한 것 같아서. 뭐, 물론 나의 생각일 뿐이다. 소년재판을 하는 내용이 인상깊었다. 아이들에 대해 간략히 나열한 점도 좋았다. 얼마 전에 <이리와 안와줘> 라는 드라마를 정주행할 때, 연쇄살인범이 교도소에서 쓴 책이 잘 팔리는 장면이 나온다. 거기서 연쇄살인범의 불우한 어린 시절과 사랑받지 못 하고 자란 이유로 사이코패스가 되었다고 나오는데. (물론 주인공은 그 말은 인정하지 않는다) 나도 그렇게 분칠하려는 게 싫었다. 불우한 어린 시절은 핑계일 뿐이다. 이런 책을 읽으면 늘 떠오르는 아이가 있다. 스물 네 살인 내 손을 잡고 지하철을 타던 순간에 선생님이 엄마였으면 좋겠다고 말하던 중학생이. 그 아이의 엄마는 실제로 내 또래였고, 나는 그 날 그 아이가 쉼터에 데려다주는 길이었다. 태풍이 무사히 지나가기를, 저자가 쓴 회심의 문장들을 볼 때 좋았다. 가난한 아버지는 함부로 늙을 수 없다, 고양이는 고양이를 마주치면 고양이로 알지만 인간은 인간을 마주쳐도 조건을 갖춰야 인간으로 인정한다는 인용이나, 우리자기, 같은 표현들이 좋았다. 어느 책에서 판사는 "읽는 노예"라는 낱말을 본 적이 있는데 그렇게 읽는 노동을 많이 하는 판사가 꾸준히 다른 책들도 읽는다는 점이 감명 깊었다. 마지막으로 저자가 인용한 어느 구절에 인간이 매일 8시간 꾸준히 할 수 있는 일은 일밖에 없다고 했는데... 인간이 매일 8시간 꾸준히 할 수 있는 일은 일이 아니라 잠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