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의 설득 - 상대의 마음을 움직이는 세계 정상들의 스피치
카민 갤로 (지은이), 김태훈 (옮긴이)
1/1
help_outline책 정보
p.20 기술을 교양, 인문과 결합할 때 우리의 가슴을 뜨겁게 만드는 결과물이 나옵니다. p.25 성공에 이르는 비밀은 너무 하고 싶어서 다시 해가 뜰 때까지 기다리기 힘든 일을 찾는 겁니다. p.48 스스로 고무되지 않으면 다른 사람을 고무할 수 없다. 스토리텔링 기술을 터득하는 비법은 우선 내면을 깊이 성찰하여 진정한 열정과 소명을 파악하는 것이다. p.56 커피는 우리가 파는 제품일 뿐 우리가 하는 사업은 아닙니다. 우리는 커피를 파는 사업이 아니라 사람을 위한 사업을 합니다. 사람 사이의 유대가 가장 중요합니다. p.71 부정적인 말들을 격려와 용기 그리고 힘을 주는 말들로 바꾼 후 자신감을 키웠다. 잘못된 자기평가는 운명을 이루는 길을 막는다. p.102 사람들이 자신의 말에 쉽게 공감하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약간의 신뢰를 얻어야 하죠. 너무 전문적이거나 일반인의 삶과 동떨어진 이야기부터 시작하면 공감을 얻기 힘들어요. p.106 스티븐슨은 18분 동안 3개의 개인적인 이야기를 들려주었고, 주장을 뒷받침할 의미 있는 데이터를 제시했으며, 청중들을 울게 만들었다. 그들은 일어서서 박수를 보낼 수 밖에 없었다. p.111 빌 게이츠는 이런 일을 자주 벌인다. 단지 주목받고 싶어서 그러는 것이 아니다. 500억 달러의 자산을 가진 사람이 홍보에 열을 올릴 이유가 없다. p.114 버군 박사에 따르면 기대를 위반하는 것은 탁월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이다. 그녀는 이 방법을 통해 화자의 흡인력과 신뢰성 그리고 설득력을 강화할 수 있다고 말한다. p.122 애덤은 운이 좋았다. ADHD를 가진 성인 중 85퍼센트는 그 사실을 알지도 못한다. 그래서 다수가 감옥에 가거나, 여러 일자리를 전전하거나, 인간관계에 거듭 실패한다. ADHD는 대개 잘못 알려진 병이다. p.130 이야기는 데이터를 이긴다. 그렇다면 백신을 둘러싼 속설을 깨기 위해 의료계는 어떤 일을 해야했을까? 바로 직접 겪은 일에 대한 이야기, 뇌염에 걸린 아이나 아이를 잃은 부모의 이야기를 들려줘야 했다. p.135 교육적이지 않고, 마음을 끌어당기지 못하며, 공감을 얻지도 못한다. 그러면 결코 영감을 줄 수 없다. 좋은 이야기는 고난과 갈등 그리고 해소라는 요소를 포함한다. p.151 로빈슨의 유머는 자기비하적인 내용이 많다. 자신을 너무 많이 웃음거리로 만들면 신뢰성을 잃을 위험이 있다. 그러나 사회심리학자들이 연구한 바에 따르면 약간의 자기비하는 큰 점수를 딸 수 있다. p.154 세일즈 코치인 제프리 지토머의 말에 따르면 ‘웃고 나면 더 귀를 기울이게 된다.’ p.180 리처드는 CNN의 앤더슨 쿠퍼와 가진 인터뷰에서 “난독증을 가진 사람이 학교에서는 힘든 시간을 보내다가 사회에 나와서 성공하는 이유는 문제를 단순하게 보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했다. p.183 리처드는 “모든 글을 쓸 때 트위터 형식으로 줄이기 위해 의식적으로 노력한다. 장문의 글을 수백 자 수준으로만 줄여도 훨씬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p.190 3의 규칙은 청중들이 내용을 기억할 가능성을 높이므로 모든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만든다. 뛰어난 작가들은 3의 규칙을 따른다. p.202 헤드필드가 준비한 파워포인트 슬라이드는 모두 35장으로 글자는 없고 사진만 담고 있었다. p.205 잡음, 즉 비핵심적 요소를 줄이고 그림을 통해 신호를 강화하면 상기도와 인지도를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인상적인 프레젠테이션은 잡음을 낮추고 신호를 높인다. p.210 신경과학 분야에서 스토리텔링이 지닌 힘과 비유의 효과를 뒷받침하는 증거들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이야기가 통하는 이유는 뇌의 많은 부분을 활성화하기 때문이며, 상징과 비유는 그 필수적인 도구다. p.220 앞으로 회의적인 태도를 지닌 청중을 상대할 때는 영웅에 해당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개하기 전에 먼저 악당을 제시하라. p.244 신입 직언들에게 서비스 단계를 담은 문서만 주고 따르라고 하면 의도한 효과를 얻지 못한다. 물론 일자리를 지키려고 지침을 따르기는 할 것이다. p.268 성공적인 리더는 목적의식에 생기를 불어넣는 이야기로 탁월한 문화를 구축한다. 이런 이야기들을 공유하면 운동을 일으킬 수 있다. p.311 윈스턴 처칠은 “짧은 단어는 대개 역사가 더 길다. 그래서 그 의미에 국가적 특성을 더 많이 담고 있으며, 더 큰 힘에 호소한다.”라고 말했다. p.312 “전쟁사에서 이토록 많은 사람이 이토록 많은 빚을 이토록 적은 사람에게 진 적이 없다.” 윈스턴 처칠은 so much, so many, so few라는 6개의 단어로 영국인의 용기가 세계인들에게 지니는 의미를 담은 전체 이야기를 전했다. 이 6개의 단어는 책 한 권을 채울 수 있는 이야기를 축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