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 무엇이 가치를 결정하는가
마이클 샌델 (지은이), 안기순 (옮긴이), 김선욱 (감수)
1/1
help_outline책 정보
마이클 샌델은 이 책을 통해 시장논리가 지배한 사회에서 어디까지 정의를 추구해야할 지 물음을 던진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책에 이어 시장논리가 적용될 수 있는 범위는 어디까지인가에 대한 물음을 던진다. 시장의 논리가 일상 곳곳에 침투하며 가격이 없던 재화와 서비스에 가격이 생기고(새치기, 인센티브) 모든것이 상품화되며 도덕성, 공공의 가치가 희석되고 있다. 마이클 샌델은 시장 논리에 책정된 가치가 경제적으로 타당한지 묻지 않는다. 그 재화와 서비스가 과연 경제적으로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대상인가를 고민해야한다는 것이다. 경제적으로 가치 평가의 대상이 되면서 고려해야하는 것은 크게 두 가지이다. 공정성과 부패이다. 공정성은 과연 그 재화/서비스에 금액을 책정하면서 소외되거나(ex 새치기) 혹은 반강제적으로 특정 행동을 취하도록 유도되지는 않는지이고(ex 낙태), 부패는 그 재화나 서비스에 부여된 가치가 훼손되는 지이다(ex 공정성, 생명 존중, 자연에 대한 경외). 이러한 설명은 내가 평소 거북하다고 여겨지는 거래를 접하였을때(ex 보석금, 매춘) 그 거북한 감정이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해주었다. 그저 당연히 그래서는 안된다라는 생각이 있었으나 가끔은 사회적으로 주입된 교육의 결과로 인해 그런 생각을 하게 된건지 혼란할 때가 있었고, 한편으로는 시장 논리상 흠잡을 수 없는 거래를 제지해야할 당위성을 찾기 어려웠다. 하지만 공정성과 부패의 측면에서 본다면 나의 평소 의견에 대한 모호했단 설명이 명확히 해결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이클 샌델은 시장 논리가 지배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우리들에게 조금은 제동을 걸어주고 비판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주고자 이 책을 발매한게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