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룻밤에 읽는 고려사
개정판
최용범 (지은이) | 페이퍼로드 | 2022-11-28
정보
리뷰 (0)
스토리 (0)
카테고리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고려시대
페이지 수
416
내가 읽는데 걸리는 시간
앱에서 이용해주세요
책소개
고려를 알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명쾌하고 간결한 고려사. 500년 고려 역사를 고려 융성기, 무인 집권기, 고려 수난기, 고려 말기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100여 컷의 지도와 약도, 사진 자료를 통해 한눈에 고려사를 파악할 수 있게 했다.
목차
초판 서문 책머리에 4 왕건, 준비된 쿠데타로 고려를 건국하다 14 탁월한 전략 구사로 난세를 통일하다 21 고구려 옛 땅의 회복을 꿈꾸다 27 주름살 임금 혜종, 그 미약한 왕권의 비극 33 정종은 왜 서경 천도를 그토록 고집했을까? 39 광종, 7년의 세월을 기다리다 45 호족을 뒤흔든 노비안검법과 과거제 50 쌍기, 광종 개혁 정권의 이인자 55 기득권 세력의 저항과 광종의 비타협적 숙청 59 경종, 복수를 허용하다 64 고려의 작은 중국화를 추구하다 69 고려 체제 정비의 브레인 최숭로 74 서희의 담판이 이뤄낸 승리 79 정계를 뒤흔든 고려판 측천무후, 천추태후 85 정변의 수수께끼 90 대거란 전쟁의 숨은 주역 양규 96 고려, 준비된 군대로 거란을 완파하다 103 고려 최고의 명문 사학을 만들다 108 세계와 통한 국제무역항 벽란도 112 고려판 수양대군, 계림공의 쿠데타 118 화폐 주조 신수도 건설도 왕권 강화를 위해 124 성과 속을 넘나든 왕자 승려 의천 130 윤관의 여진 정벌의 실상 134 권력의 전횡이 부른 권세가의 몰락 141 ◆고려에는 고려장이 없었다 154 ◆왕권 강화의 키워드, 근친혼 156 ◆고려청자에는 사람 뼈가 들어갔을까? 158 ◆고려 정치의 보이지 않는 손, 여인 160 ◆고려 미술의 천재 이영 162 시나리오가 있었던 무신의 난 166 문신의 씨를 말려라 173 무신정권 수립의 실세는 하급 무인들 178 온건파가 장악한 약체 무신정권 184 무신정권을 부정하는 무신의 집권 190 천인 출신 장사 이의민의 장기 집권 196 최충헌, 60년 최씨 정권의 시작을 알리다 202 최충헌의 시스템 정치 209 권력자의 입맛대로 정치기구를 설치하다 215 무신 집권기 어느 문인 관료의 삶 221 민중의 100년 항쟁 227 고구려·백제·신라 부흥 운동은 왜 일어났을까? 233 탐라는 육지의 식민지인가 238 ◆무신집권자들은 왜 직접 왕이 되지 않았을까? 243 ◆머리채를 팔아 마련한 점심밥 245 ◆출세를 위해선 마누라도 버리자! 247 ◆고려 기생은 백정 출신 249 칭기즈칸의 몽골제국 고려를 침입하다 254 무책임한 최씨 정권과 불굴의 고려군 260 삼별초 항쟁의 두 얼굴 266 고려군, 원의 일본 침략전에 동원되다 272 고려 침략의 선두에 선 홍다구 일파 278 원의 힘을 빌려 자주성을 강화하자 283 『삼국유사』와 『제왕운기』 288 충선왕의 딜레마 294 충숙왕과 심왕 고 300 두 번 폐위당한 폭군 충혜왕 306 여성이 호주도 되고 상속도 받았던 고려 312 ◆고려의 내시는 조선의 내시와 완전히 달랐다 316 ◆고려가 금속활자를 먼저 찍어내고도 문화혁명을 못 이룬 까닭은? 318 원의 지원을 받은 반원 정책이란 역설 322 공민왕, 개혁의 칼날을 들다 328 홍건적의 침입과 국제 정세의 급변 334 원 간섭기 종식 340 원의 황후가 된 고려 공녀 346 신돈의 과감한 정치 개혁과 그 좌절의 내막 351 너무도 허망하게 끝난 공민왕의 개혁 정치 357 원의 100년 간섭이 고려에 남긴 것 364 문익점, 조선의 생활과 문화에 혁명을 일으키다 369 최영과 이성계를 영웅으로 만든 왜구 토벌 376 집념의 화약 마니아 최무선의 화포 발명 381 염흥방의 소탐이 불러온 권문세족의 몰락 385 최영 장군은 왜 요동 정벌에 나섰을까? 390 이성계, 위화도회군으로 실권을 장악하다 396 이색·정몽주 VS 정도전·조준 402 ◆조선의 향리와는 너무 달랐던 고려의 향리 408 ◆고려에 이민 온 외국인들 410 ◆역사의 희생양 이원계 412 참고문헌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