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윈의 서재
진화하는 지식의 최전선에 서다
장대익 (지은이) | 바다출판사 | 2014-05-20
정보
리뷰 (0)
스토리 (0)
카테고리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페이지 수
408
내가 읽는데 걸리는 시간
앱에서 이용해주세요
책소개
<인간에 대하여 과학이 말해준 것들>을 통해 과학적 탐구까지 포괄한 새로운 ‘인간학’을 제안한 서울대학교 장대익 교수의 신작. 이 책은 전작의 연장선상에서 새로운 교양의 지침서, 즉 ‘우리 시대의 과학 고전’을 소개하는 과학 서평집이다.
목차
1 도발적인 책 만들어진 신 · 종교를 아이들에게 노출시키지 말 것. 정신 바이러스니까 통섭 · 계몽주의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 내 탓인가 뇌 탓인가 인간의 그늘에서 · 침팬지는 동물의 왕국에서 인간 세계에 보낸 대사다 과학혁명의 구조 · 과학자는 평생 연습문제만 풀다 간다 2 우아한 책 코스모스 · 하늘의 역사를 이해하지 못하고는 우리를 알 수 없다 풀하우스 · 진화는 진보가 아니다 이기적 유전자 · 오직 인간만이 이기적 유전자의 독재에 항거할 수 있다 총,균,쇠 · 병균은 어떻게 인간의 역사를 바꿨는가? 3 경계가 없는 책 생명이란 무엇인가 · 오류를 범할 각오로 종합을 감행하라 링크 · 복잡계에서 허브가 된다는 것은? 내 안의 유인원 · 보노보를 이해하는 사람은 철학자보다 위대하다 생각의 지도 · 동서양의 차이에 관한 불편한 진실 과학의 최전선에서 인문학을 만나다 · 제 3의 지식인 문화를 위하여 4 배후의 책 야성적 충동 · 케인즈의 부활 뒤에 숨겨진 과학 아웃라이어 · 가문의 영광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넛지 · 소변기의 파리 스티커가 변화시킨 풍경 5 내밀한 책 아인슈타인, 피카소 · 눈에 보이는 것은 거짓이다 생명의 느낌 · 옥수수가 내게 말을 걸 때 파인만! · 재미가 없다는 노벨상이 무슨 소용인가? 다윈 평전 · 다윈은 왜 20년 동안이나 자신의 이론을 발표하지 않은 이유 1 인간과 자연 ▶ 북토크 1|내 인생을 바꾼 과학책 종의 기원 · 세상을 바꾼 책 눈먼 시계공 · 자연선택은 힘이 세다 생명, 그 경이로움에 대하여 · 우리는 우발적 존재다 ▶ 북토크 2|우리의 마음은 아직도 수렵?채집중? 빈 서판 · 차마 인간이 백지 상태로 태어난다고 말하기 전에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 인간은 가장 많은 본능을 가진 동물이다 양복을 입은 원시인 · 유전자에 새겨진 문명 1만 년의 폭발 · 문명에 새겨진 유전자 ▶ 북토크 3|섹스와 음식, 우리를 인간으로 만든 것들 연애 · 인간의 마음은 수컷 공작의 꼬리다 요리 본능 · 고작 요리 따위가 만든 인간 ▶ 북토크 4|과학은 의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의식의 수수께끼를 풀다 · 오대수 만두에 대한 과학 2 생명과 우주 ▶ 북토크 5|지구는 어떤 행성인가? 콘택트 · 우주에 생명이 우리뿐이라면 그건 공간의 낭비다 바이러스 행성 · 바이러스의 시각에서 본 지구와 인간 ▶ 북토크 6|생명은 어떻게 진화했는가? 눈먼 시계공 · 동물행동학자가 본 진화 다윈 이후 · 고생물학자가 본 진화 ▶ 북토크 7|생명을 이해하는 방식에 관하여 이것이 생물학이다 · 생물학은 암기 과목이 아니다 섹스의 진화 · 섹스를 비교해보자. ▶ 북토크 8|물리학자가 보는 생명과 법칙 삶과 온생명 · 온생명이란 무엇인가? 최종 이론의 꿈 · 궁극적 이론은 가능할까? 3 문화와 역사 ▶ 북토크 9|동물에게도 문화가 있을까? 원숭이와 초밥 요리사 · 서당개 삼년이면 풍월을 읊는다 밈 · 인간은 밈 기계다 ▶ 북토크 10|외계인의 시각에서 본 인류 역사의 큰 그림 지구의 정복자 · 우리는 어떻게 지구를 지배하게 되었나 빅 히스토리 · 역사에 대한 빅 퀘스천 ▶ 북토크 11|문명은 어떻게 붕괴하고 종은 언제 멸절하는가? 문명의 붕괴 · 스케일과 디테일을 가로지르며 문명의 운명을 논하다 멸종 · 불량 유전자인가, 지독한 불운인가? 4 종교와 과학 ▶ 북토크 12|과학과 가치 무지개를 풀며 · 낭만의 바다에서 과학이 노래하는 시 다윈의 블랙박스 · 게으른 창조론자의 성급한 변증 ▶ 북토크 13|왜 우리는 엉뚱한 것을 믿는가? 왜 사람들은 이상한 것을 믿는가 · 믿음 엔진의 과열 왜 종교는 과학이 되려 하는가 · 한국의 개신교인들에게 고함 ▶ 북토크 14|과학적 경이감과 종교적 경외감 사이에서 과학적 경험의 다양성 · 경이와 경외 사이의 기우뚱한 줄타기 다윈 안의 신 · 진화론과 유신론 사이의 아슬아슬한 줄타기 5 과학과 사회 ▶ 북토크 15|과학에 대한 진정한 존중 과학의 변경지대 · 어떻게 SETI 프로젝트는 과학이 되었나? 사이언스 이즈 컬쳐 · 과학은 문화다 ▶ 북토크 16|사회생물학과 그 적들 DNA 독트린 · 사회생물학은 나쁜 이데올로기다 다윈 에드워드 윌슨과 사회생물학의 승리 · 사회생물학이 이겼다! ▶ 북토크 17|과학이 만든 사회, 과학이 만들 사회 무엇이 재앙을 만드는가? · 대형 사고는 늘 터질 수밖에 없다 3차 산업 혁명 · 재생 에너지의 수평적 공유 사회